Toggle navigation
사단법인 상생의가치
홈
포트폴리오
소개
프로필
수상경력
활동이력
문의
송관철
사
무처장 | 이사
학력
단국대학교 경영학 박사
고려대학교 행정학 석사
경력
現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객원연구위원
現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現
광주광역시 노사민정협의회 위원
前
고용노동부 자회사 평가위원
前
한국인사조직학회 이사
前
KOSRI 연구소장
前
청강문화산업대학 외래교수
주요 연구 업력
2024
삼척형 상생형 일자리 컨설팅
2024
저출산시대 학교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 연구. 교사노조연맹
2023
고용상태 영향조사. 고용노동부
2023
노사상생협력교육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노사발전재단
2023
노동시장 재진입을 위한 신중년 일자리훈련 개선방안 연구. 부천지역노사민정협의회
2023
삼척형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
2023
중장년 등 효과적인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노사협력형 직업훈련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022
공정채용 제도의 현재와 향후 방향 모색. 고용노동부
2022
화성시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화성시청
2022
노사상생협력교육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노사발전재단
2022
국회 공무직근로자 임금체계 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임금체계 운영방안 연구. 국회사무처
2021
주요 재난유형별 필수노동자 지원 정책연구. 경기도청
2021
산재사망사고 감소를 위한 보수체계 개편 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1
노사상생협력교육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노사발전재단
2021
공공부문 자회사 종사자의 고용 및 노동실태와 개선방안. 공공연대노동조합
2021
상생형 지역일자리 신규모델 개발촉진을 위한 컨설팅 지원방안 연구.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2021
노사공동출연 공익법인 사업 및 운영방침 등 컨설팅 용역. 금융산업공익재단
2020
근로복지공단 임금체계 진단 및 개선 연구. 근로복지공단
2020
메르세데스벤츠 모바일 아카데미 평가지표 개선.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2019
K-SIRE 글로벌 CSR 지원사업 평가지표 개발 및 운영전략 수립. 한국무역보험공사
연구 논문 등
2024
방송연기자 출연료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드라마 배우를 중심으로, 산업연구, 48(2), 91-122.
2024
『노동의 미래, ESG』, 공저. 도서출판: 행진
2024
ESG 평가지표에서 노동의 중요성, 《KLSI 이슈페이퍼 2024-01》, 제195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23
ChatGPT가 가져올 노동의 위기와 기회, 《KLSI 이슈페이퍼 2023-05》, 제185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23
장애인복지관 종사자 노동실태, 《KLSI 이슈페이퍼 2023-02》, 제182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22
ESG 노동 생태계 조성 방향, 《KLSI 이슈페이퍼 2022-09》, 제170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2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노동조합의 역할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의노동2022』 129-182.
2021
ESG와 노동, 《KLSI 이슈페이퍼 2021-07》, 제148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8
기업의 사회적책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8), 278-299.
2016
작업장 민주성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의 조절효과: 기업과 협동조합의 차이를 중심으로. 산업관계연구, 26(4), 81-112.